당뇨병을 관리하는 많은 사람들이 의아해하는 상황이 있습니다. 저녁 식사도 조절하고 운동도 했는데, 아침 공복 혈당이 오히려 높게 나오는 경우입니다. 이는 흔히 말하는 ‘새벽현상(Dawn phenomenon)’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새벽현상이 무엇인지, 왜 발생하는지, 그리고 이를 어떻게 관리할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새벽현상이란?
새벽현상은 일반적으로 새벽 3시에서 6시 사이, 인체가 수면 중인 상태에서 혈당이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특별한 식사나 활동 없이도 발생하기 때문에 당뇨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특히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당뇨병 환자에게 흔하게 나타나며, 공복혈당 수치를 예측하기 어렵게 만들어 인슐린 투여량이나 식이조절 계획을 세우는 데 어려움을 줍니다.
왜 잠자는 동안 혈당이 올라갈까?
새벽 시간에는 인체의 생체리듬에 따라 성장호르몬, 코르티솔, 아드레날린, 글루카곤 등의 호르몬 분비가 활발해집니다. 이들 호르몬은 간에서 포도당을 생산하게 하고, 동시에 인슐린 저항성을 높이기도 합니다.
건강한 사람의 경우, 이러한 호르몬 변화에도 체내 인슐린이 혈당 상승을 자동으로 조절합니다. 그러나 당뇨 환자나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사람은 이 과정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혈당이 상승하게 됩니다.
새벽현상과 혼동하기 쉬운 ‘소모기 효과(Somogyi Effect)’
비슷한 증상으로 혼동되기 쉬운 현상이 ‘소모기 효과’입니다. 이는 잠자는 동안 혈당이 너무 낮아져 반사적으로 혈당이 급상승하는 현상으로, 원인은 저혈당입니다.
두 현상을 구별하는 방법은 새벽 2~3시경 혈당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때 혈당이 낮으면 소모기 효과, 정상이거나 이미 높으면 새벽현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새벽현상 관리법
- 늦은 밤 간식 조절: 저녁 간식으로 복합탄수화물(통밀빵, 삶은 고구마 등)을 적당히 섭취하면 새벽 저혈당을 예방하고 혈당 안정에 도움됩니다.
- 운동 시간 조정: 저녁 시간 가벼운 유산소 운동은 인슐린 민감성을 높이고 야간 혈당 상승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약물 조정: 인슐린이나 경구 혈당강하제를 사용하는 경우, 투여 시간이나 용량을 의사와 상의해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스트레스 관리: 코르티솔 분비와 관련된 스트레스는 혈당을 높이는 주요 요인이므로, 충분한 수면과 스트레스 완화 습관이 필요합니다.
- 혈당 패턴 파악: 최소 3일 이상 새벽 3시, 아침 7시 혈당을 비교 기록하면 새벽현상 여부를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며
혈당 조절은 단순히 식사량을 줄이거나 운동을 하는 것만으로는 해결되지 않습니다. 특히 수면 중 발생하는 ‘새벽현상’은 고혈당의 숨은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를 방치하면 장기적인 당화혈색소 수치 관리에도 어려움이 따릅니다.
혈당이 올라가는 원인을 정확히 이해하고, 자신에게 맞는 생활 습관과 약물 조절 계획을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매일의 작은 관찰과 기록이 나의 건강을 바꾸는 가장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